프로젝트 중에 mock 데이터를 여러 형태로 정렬 해보면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다. 오늘 사용한 방법들을 한 번 정리해 보려고 한다. sort 함수란 배열의 요소를 적절한 위치에 정렬한 후 그 배열을 반환한다. 기본 정렬 순서는 문자열의 유니코드 포인트를 따른다. 기본 정렬 const test = ['b','a','c','g','d'] test.sort() console.log(test) // ['a','b','c','d','g'] compareFunction 파라미터 정렬의 순서를 정의하는 함수 const test = [10, 3, 8, 4, 1]; test.sort((a, b) => { console.log(a,b); return a - b; }); /* a : 3 b : 10 a : 8 b ..